SOLID STATE

講談社編集次長逮捕自宅殺害容疑警視庁

강담사 편집차장을 체포 = 자택에서 아내를 살해한 용의 경시청

殺人容疑逮捕された朴鐘顕容疑者)=10日午後東京都文京区

살인 용의로 체포된 朴鐘顕용의자 () = 10일 오전도쿄도 분쿄구.


 東京都文京区の住宅で2016年8月、住民の女性=当時(38)=が窒息死した事件で、警視庁捜査1課は10日、殺人容疑で、夫で講談社編集次長朴鐘顕容疑者(41)を逮捕した。


捜査関係者によると朴容疑者16日未明ごろ文京区千駄木自宅圧迫して窒息死させたいがたれている

 朴容疑者同日午前45ごろ、「れている119した警察官けたところ階段下付近女性れていたがあったがほかに目立った外傷はなかった


 朴容疑者自殺したと説明しかし動機判然とせず遺体状況など矛盾するかったため同課事件可能性があるとみて捜査していた

 女性からは朴容疑者DNA検出されたほか同居するどもたちのなどから同課朴容疑者殺害したと判断した


 朴容疑者同社人気漫画雑誌週刊少年マガジン副編集長めるなどしていた

 講談社広報室 このような事態になり大変遺憾本人無実主張しており捜査推移見守りつつとして慎重対処する

2017/01/10-13:39

 

社会記事一覧】 【アクセスランキング

 도쿄도 분쿄구의 주택에서 2016년 8 주민 여성(당시 38)이 질식사한 사건으로, 경시청 조사 1과는 10일 살인용의로 남편인 강담사 편집차장(용의자, 41)을 체포했다.

 

 조사 관계자에 의하면 용의자는 16년 8월 9일 해가 뜰 무렵 분쿄구 센다기의 자택에서 아내의 목을 압박하여 질식사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朴용의자는 같은 날 오전 2시 45분 경 “아내가 쓰러져있다.”며 119에 전화했다경찰관이 달려가 도착했을 때 계단 아래에 여성이 쓰려져 있었고 머리에 찰과상이 있었지만그 외에 눈에 띄는 외상은 없었다.

 

 朴용의자는 아내는 자살한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그러나 동기가 불분명하다 판단되고시체의 상태로 미루어 모순되는 점도 많았기에, 조사 1과는 사건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조사 중이었다.

 여성의 목에서 용의자의 DNA가 검출된 것 외에 함께 사는 자녀들의 이야기를 통해 조사 1과는 용의자가 살해했다고 판단했다.

 

 朴용의자는 강담사의 인기 만화잡지 주간 소년 매거진의 부편집장을 맡고 있다강담사 홍보실의 설명이런 사태가 생겨 대단히 유감이다본인은 억울함을 주장하고 있으니조사의 추이를 지켜보면서회사로서 신중히 대처하겠다.

2017/01/10-13:39 


社会記事一覧】 【アクセスランキング

 


도쿄도 분쿄에 위치한 강담사 본사. 생각보다 아담하다.


강담사(고단샤)는 소학관(쇼카쿠칸), 집영사(슈에이샤)등과 함께 일본을 대표하는 출판사 중 하나로 110년이 넘는 역사를 가졌다.

무라카미 하루키를 데뷔시킨 군조문학상을 주관한다. 허나 해외에서는 만화 잡지인 소년매거진이나 kiss등으로 더 유명한데...  

옛 직장에서 인세보고 등으로 강담사에 몇 번 메일을 보낸 기억이 있다. 아마 내가 보낸 메일을 확인하던 담당이었을지도 모른다.

성이 박씨이고 이름이 두 자인 걸 보니 한국계 편집자인 듯 하다.  <진격의 거인>의 책임 편집자였던 것 같다.

열도의 책동네는 한국에 비해 확실히 역동적이다....

출처 : http://develten.blog.me/220196363692


순환군, 또 치환군 관련해서 문제를 풀어본 사람들은

군의 위수와 군의 원소의 위수, 또 군의 부분군의 위수 사이에 모종의 관계!가 있다는 걸 눈치챘을지도 모른다.

이번 시간에는 군과 군의 원소, 부분군의 위수 끼리의 관계를 잉여류와 대수동형이라는 강력한 도구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G가 군이고 H가 G의 부분군일 때, G의 원소 a에 대해 aH = {ah | h는 H의 원소}이고

'G에서 a를 포함하는 H의 우잉여류'라고 한다. 말이 좀 길다.

마찬가지로 aH = {ha | h는 H의 원소}이고 'G에서 a를 포함하는 H의 좌잉여류'라고 한다.

이 때, a를 좌(우)잉여류의 대표라고 부른다.

비슷한 방법으로 우리는 aHa^(-1) = {aha^(-1) | h는 H의 원소}등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잉여류가 가지는 중요한 성질들을 알아보자.

 

G가 군이고 H가 G의 부분군이라고 하자. a와 b는 G의 원소라고 하자. 그러면

1. a는 aH의 원소이다.

2. aH = H <-> a는 H의 원소.

3. aH = bH <-> a는 bH의 원소.

4. aH = bH 이거나 aH와 bH는 배반집합.

5. aH = bH <-> a^(-1)b가 H의 원소.

6. |aH| = |bH|

7. aH = Ha <-> H = aHa^(-1)

8. aH는 G의 부분군 <-> a는 H의 원소.

 

위 8가지 성질들은 모두 아주 중요하다.

각각은 한 잉여군의 성질을 나타낸다기보단 잉여군끼리의 관계를 주로 나타낸다는 사실에 유의하여 살펴보자.

2, 3, 5번 정리를 통해 두 잉여군이 언제 같아지는가 하는 점에 대해 알아볼 수 있으며

4, 6, 8번 정리를 통해 서로 같지 않은 잉여군 사이에 어떤 공통점이나 관계가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그 중요성에 비해 증명은 그다지 어렵지 않으므로 스스로 차근차근 증명해보도록 하자.

잉여류는 바로 다음에 나올 라그랑지 정리를 증명하는데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후에 등장할 정규부분군이나 인자군에 대해 다룰 때에도 등장하는 개념이므로 대충보지 말고 충분히 이해하고 가야한다.

 

이제 군이론에서 꽤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라그랑지 정리에 대해 살펴볼 때가 되었다.

라그랑지 정리는 다음과 같다.

 

G가 유한군이고 H가 G의 부분군이면 |H|는 |G|를 나눈다.

그리고 G에서 H의 좌잉여류의 개수는 |G|/|H|이다.


여기서 새로운 정의를 하나 하고 넘어가자.

군 G에서 부분군 H의 지표 |G:H|는 G에서 H의 좌잉여류의 개수이다.

라그랑지 정리는 군의 위수만으로 군의 원소와 부분군의 위소를 대단히 한정할 수 있으므로

군의 부분군을 예측하고 한정하는 데 쓰인다. 라그랑지 정리에 대한 따름정리 몇가지를 소개한다.

그리고, 라그랑지 정리의 역은 성립하지 않음에 유의하자.

 

1. |G:H| = |G|/|H|

2. |a|는 |G|를 나눈다.

3. 위수가 소수인 군은 순환군이다.

4. a가 G의 원소일 때 a^|G| = e이다.

5. 정수 a와 소수 p에 대해 a^p mod p = a mod p가 성립한다.

6. 3이상의 소수 p에 대해 G가 위수 2p인 군이라면 G는 Z_2p 혹은 D_p와 대수동형이다.

 

3, 6을 보면 라그랑지 정리를 통해 군의 위수만으로도 그 군이 어떤 군인지 알아낼 수도 있음을 알 수 있고

2, 4, 5를 보면 군의 위수만으로 원소의 성질에 대해 어느정도 알아낼 수 있음도 알 수 있다.

이제부터는 라그랑지 정리와 잉여류를 치환군에 사용해 치환군의 성질에 대해 좀 더 알아보자.

시작하기전에 두 가지 정의를 먼저 보고 가자.

 

G가 S의 치환군이라고 하자. S의 각각의 원소 i에 대해 stabG(i) = {a | a는 G의 원소, a(i) = i}와 같이 정의한다.

같은 상황에서 orbitG(i) = {a(i) | a는 G의 원소}와 같이 정의한다.

 

stabG(i)는 i를 변화시키지 않는 G의 원소들을 모아놓은 것이고

orbit(i)는 G의 원소를 통해 i가 가질 수 있는 함수값들을 모아놓은 것이다.

stabG(i)와 orbitG(i)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G가 S의 유한치환군이라 하자. S의 원소 i에 대해 |G| = |orbitG(i)||stabG(i)|가 성립한다. 

stabG(i)가 G의 부분군이고 stabG(i)의 좌잉여류의 개수가 orbitG(i)의 원소의 개수가 같다는 점을 보이면 증명할 수 있다.

자세한 증명은 생략하겠다.

 

이런 정리들을 이용해서 여러 가지 군의 위수를 알아 낼 수 있다.

정육면체를 회전시키는 군의 위수라든가, 축구공을 회전시키는 군의 위수라든가...

그리고 orbit-stabilizer 정리같은 경우에는 뒤에 실로우정리를 증명할 때 요긴하게 쓰이므로

조금 주의깊게 보고 넘어가도록 하자.


출처: http://develten.blog.me/220196363692


1. U(16)에서 x->x^3은 자기동형인가?

   x->x^5는 자기동형인가?

   x->x^n에서 n이 몇이어야 자기동형인가?

   U(n)에서 x->x^m이 자기동형이라면 n과 m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좀 더 일반적으로, 어떤 군 G에서 x->x^n이 자기동형이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2. G가 위수가 n인 군일 때, G에서 G로의 함수 x->x^m은 언제 일대일 대응이 되는가?

 

3. 군 G의 원소 a에 대해 a^n이 C(G)에 속하면 n은 |a|의 약수이다.